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긴급생활지원금 소득, 재산 자격조건 알아보기

by leverlever 2025. 3. 20.

 

긴급생활지원금은 갑작스럽게 생계가 어려워진 가구를 돕기 위해 정부가 지원하는 복지 제도입니다. 하지만 모든 사람이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소득 및 재산 기준을 충족해야 신청이 가능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 긴급생활지원금 소득, 재산 자격조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모르면 손해 보는 정보

 

긴급생활지원금 소득 기준

긴급생활지원금을 신청하려면 기준 중위소득 75% 이하를 충족해야 합니다. 중위소득이란 우리나라 모든 가구의 소득을 순서대로 정렬했을 때 중간에 위치한 값을 의미하며, 이 값의 75% 이하인 가구가 지원 대상이 됩니다.

 

2025년 중위소득 75% 기준 금액 (월 소득)

예시 1:
A씨는 3인 가구이며, 가족들의 총 소득이 3,700,000원입니다.
📌 중위소득 75% 기준(3인 가구)인 3,769,015원 이하이므로 지원 가능합니다.

 

예시 2:
B씨는 4인 가구이며, 가족들의 총 소득이 4,600,000원입니다.
📌 4인가구 기준(4,573,330원)보다 높기 때문에 지원이 어렵습니다.

 

💡 TIP!
소득은 근로소득뿐만 아니라 사업소득, 연금소득, 이자소득 등을 모두 포함합니다.
또한 공제 대상이 되는 소득(세금, 건강보험료 등)이 있을 경우 이를 제외한 실제 가처분 소득이 기준이 됩니다.

 

 

 

긴급생활지원금 재산 기준

긴급생활지원금은 단순히 소득 기준만 충족한다고 받을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재산 기준도 함께 만족해야 하며, 거주 지역(대도시, 중소도시, 농어촌)에 따라 기준이 다릅니다.

 

2025년 지역별 재산 기준

 

💡 재산 산정 방식

  • 부동산(아파트, 토지 등)
  • 전세보증금
  • 자동차(고가 차량 제외)
  • 금융자산(은행 예금, 적금 등)
  • 기타 재산 (임대보증금, 유가증권 등)

📌 단, 주거용 재산은 일부 공제되므로 실제 기준보다 약간 높은 경우도 신청 가능할 수 있습니다.
📌 부채가 많더라도 재산에서 차감되지 않으므로 참고하세요.

 

예시 1:
서울에 사는 C씨의 재산이 2억 3,000만 원입니다.
📌 대도시 재산 기준(2억 4,100만 원 이하)이므로 신청 가능합니다.

 

예시 2:
전라북도(농어촌)에 거주하는 D씨의 재산이 1억 5,000만 원입니다.
📌 농어촌 기준(1억 3,000만 원 이하)보다 많으므로 지원이 어렵습니다.

 

💡 TIP!
같은 재산이라도 대도시에 살면 기준이 높아 유리할 수 있습니다.

 

 

긴급생활지원금 금융재산 기준

금융재산(예금, 적금, 주식 등)도 일정 기준 이하여야 합니다. 생활 유지에 필요한 생활준비금(중위소득의 일정 비율) + 600만 원을 합산한 금액을 초과하면 지원이 어렵습니다.

2025년 금융재산 기준

 

예시 1:
E씨(1인가구)의 은행 예금이 7,000,000원입니다.
📌 금융재산 기준(8,392,000원 이하)이므로 신청 가능.

 

예시 2:
F씨(4인가구)의 은행 예금이 15,000,000원입니다.
📌 금융재산 기준(12,097,000원 이하) 초과로 신청 불가.

 

💡 TIP!
은행 예금뿐만 아니라 보험, 주식, 청약저축 등도 포함되므로 금융재산을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소득과 재산 기준을 초과해도 받을 수 있는 경우

일반적으로 소득과 재산이 기준을 초과하면 지원이 어렵지만, 아래와 같은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지원될 수 있습니다.

 

1. 갑작스러운 소득 감소

  • 실직 후 소득이 단기적으로 급감한 경우
  • 폐업으로 인한 소득 상실

2. 재산이 있어도 활용할 수 없는 경우

  • 부채가 많아 실질적인 생활이 어려운 경우
  • 부동산이 있어도 실거주용으로 매각이 불가능한 경우

3. 특별한 위기상황 발생

  • 이혼으로 인해 소득이 급감한 경우
  • 전기 단전, 노숙 등의 상황

이 경우, 담당 공무원과 상담 후 예외적 지원이 가능한지 확인해야 합니다.


맺음말

긴급생활지원금은 소득과 재산이 기준 이하일 때 신청할 수 있으며, 기준을 조금 초과하더라도 특별한 위기상황이 있다면 예외적으로 지원받을 수도 있습니다. 재산 및 금융재산 기준이 까다롭기 때문에 사전에 본인의 상황을 정확히 확인한 후 신청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신청 전, 주민센터(읍·면·동) 방문 또는 보건복지상담센터(129)에 문의하여 지원 가능 여부를 체크해보세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