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중위소득 100% 이하는 얼마일까? 가구별 혜택 총정리

by leverlever 2025. 3. 17.

 

정부지원 정책을 지원할 때 우선 순위로 체크해야 하는 것이 중위소득입니다. 그중에서도 정중앙에 위치한 100%는 특히 많이 쓰이는데요. 지금부터 중위소득 100% 이하는 얼마인지, 가구별 혜택을 총정리해 말씀드리겠습니다.

 

모르면 손해 보는 정보

 

1. 중위소득 100%란?

중위소득이란, 모든 가구를 소득순으로 나열했을 때 정중앙에 위치한 가구의 소득을 의미합니다. 이는 보건복지부에서 매년 발표하며, 다양한 정부 지원제도의 기준이 됩니다. 중위소득 100% 이하에 해당하면 각종 복지 혜택과 대출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집니다. 특히 서민금융 지원, 주거복지, 의료비 지원 등의 정책에서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2. 2025년 중위소득 100% 금액(가구별)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2024년 중위소득 기준을 보면, 가구별 중위소득 100%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3. 중위소득 100% 이하 혜택

중위소득 100% 이하 가구는 정부와 지자체의 다양한 지원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지원제도를 살펴보겠습니다.

 

(1) 금융 지원제도

① 서민금융 대출

중위소득 100% 이하 가구를 위한 금융지원이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대출상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 햇살론15: 연소득 4,500만 원 이하 또는 신용평점이 낮은 사람을 위한 저금리 대출 (연 15% 이내)
  • 햇살론뱅크: 기존 서민금융상품 이용자가 추가로 이용할 수 있는 상품 (최대 2,000만 원)
  • 새희망홀씨대출: 중·저신용자를 위한 대출로 연소득 4,500만 원 이하 대상 (최대 3,500만 원)
  • 근로자햇살론: 연소득 3,500만 원 이하이면서 재직기간 3개월 이상인 근로자를 위한 상품

 

② 청년·서민 대상 대출 상품

  • 청년 전·월세 보증금 대출: 청년(만 34세 이하) 대상 최대 1억 원 대출(연 1~2%대 금리)
  •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중위소득 100% 이하 가구 대상, 저금리 전세자금 대출 (최대 2억 원)


(2) 주거 지원제도

① 공공임대주택

중위소득 100% 이하 가구는 국민임대주택, 영구임대주택, 행복주택 등 다양한 공공임대주택 신청이 가능합니다.

  • 국민임대주택: 중위소득 100% 이하 가구 대상으로 시세의 60~80% 수준에서 장기거주 가능
  • 행복주택: 청년, 신혼부부, 저소득층을 위한 임대주택 (중위소득 100% 이하가 우선순위)

② 전·월세 지원

  • 청년 월세 지원: 만 19~34세, 중위소득 100% 이하 가구 대상 최대 월 20만 원 지원(최대 12개월)
  • 주거급여: 중위소득 47% 이하 가구에 한해 지원되나, 100% 이하도 일부 혜택 가능 (전세·월세 지원)

 

(3) 의료 및 복지 지원

① 건강보험료 지원

  • 중위소득 100% 이하 가구 중 일정 조건 충족 시 건강보험료 감면 가능
  • 차상위계층(중위소득 50~100% 사이)은 본인 부담금 경감

② 기초생활보장제도(조건부)

  • 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는 중위소득 30~50% 이하 가구 대상이지만, 일부 혜택은 100% 이하도 신청 가능

(4) 교육비 및 양육비 지원

① 교육급여

  • 중위소득 100% 이하 가구의 경우 일부 교육비 지원 가능
  • 초·중·고 학생 대상 교재비, 학용품비, 수업료 감면 혜택 제공

② 아이돌봄 서비스 지원

  • 중위소득 100% 이하 가구는 아이돌봄 서비스 정부지원 비율이 높음
  • 맞벌이 가구 및 저소득 가구는 돌봄 서비스 이용 시 정부 지원 비율 최대 85%

4. 중위소득 100% 이하 대출 및 지원제도 신청

(1) 온라인 신청

  • 복지로: 복지 서비스 및 주거급여, 교육급여, 의료급여 등 신청 가능
  • 서민금융진흥원: 서민금융 대출상품 정보 확인 및 신청 가능
  • LH청약센터: 국민임대·행복주택 등 공공임대 신청

(2) 오프라인 신청

  • 주민센터 방문: 복지급여, 주거급여, 건강보험료 감면 신청 가능
  • 은행·금융기관 방문: 서민금융 대출 및 청년 대출 신청 가능

5. 맺음말

중위소득 100% 이하 가구는 다양한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중요한 기준선에 해당합니다. 대출, 주거, 의료,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혜택이 제공되므로 본인의 소득 기준을 정확히 파악하고 필요한 지원을 적극적으로 신청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서민금융 대출이나 주거급여 같은 제도는 신청만으로도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으므로, 놓치지 말고 챙겨보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